본문 바로가기

정보나눔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후기 2] 3급 자격증 리얼 도전기

728x90

 

 


해외에서 오래 체류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국어교원 자격증의 중요성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한류의 영향으로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한국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그야말로 핫하다. 나도 지난 몇년 간을 베트남에서 지내다 왔기때문에 이를 직접 제대로 체험하고 돌아왔다. 해서 한국에 들어오기 전부터 한국어교원 자격증과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최대한 빠른 시기 내에 취득하겠다는 목표를 정해뒀다.


한국으로 돌아오자마자 일단 학점은행제를 활용하여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습에 돌입했다. 1년 취득학점 제한이 있어서 같은 방법으로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준비할 수없다는 걸 알고 비학위과정인 3급 자격증 준비에 대한 정보를 찾았다.


-----------------


한국어교원 3급 자격증 취득방법(비학위과정)


120시간의 한국어교육양성과정 이수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합격(필기, 면접) → 국립국어원에 자격증 신청


-------------------

 

120시간의 한국어교육 양성과정 이수


우선,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는 <한국어교원 3급 자격취득 양성과정>을 찾아서 약 3개월간(2019년 8월~11월) 총 120시간의 이론과 실습교육을 나름 알차게 수강했다(한국어학 30,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1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46, 한국문화 12, 한국어교육실습 20시간).

2020년부터는 한국어교육실습의 경우 온라인 수강을 인정해주지 않는다해서 막차에 올라타듯 급히 실습까지 마무리했다. 이미 오래전 일이 돼서 비용이 정확히 기억나지 않아 당시 교육기관 사이트를 간만에 찾아들어갔더니 이제는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ㅜㅜ 아마도 2급에 밀려 3급 자격증 과정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어들었을 뿐아니라, 몇명 안되는 수강생을 두고 오프라인상에서 실습까지 운영해야하는 부담때문에 접지않았나 싶다. 때문에 지금은 비교적 기존에 인지도가 컸던 교육기관만 살아남아있는 것 같다.

>> 국립국어원 인증 교육기관 검색:
kteacher.korean.go.kr/home.do

 

여튼 2019년 말에 일찌감치 양성과정 이수증을 받아뒀는데 그 다음 과정인 한국어교육능력시험은 거의 1년을 기다려야해서 사실 좀 맥이 풀려버렸다. 그래도 양성과정을 받아뒀으니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생겼다는게 중요했다.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준비

한동안 그냥 잊으려 노력했다. 그래도 문득문득 한국어교원 자격증이 떠오르면, '에고, 이 나이에 무슨 시험인가' 막막한 생각도 들고 직장생활로 정신이 없어서 그냥 양성과정 받은 걸로 의미를 두자며 외면하고 지냈다.

그러다가 시험접수 시기인 7월이 다가오자 슬슬 갈등하기 시작했다. 때마침 다니던 직장도 그만두게 돼서 시간적인 여유까지 생긴 마당이라 마냥 시험을 외면하기에는 웬지 모를 아쉬움이 있었다. 어쨌든 시험응시자격인 양성과정을 이수했고 그 과정에 투자한 시간과 비용, 노력이 있지 않았던가.

물론 그동안 전혀 공부를 하지 않은 상황이라 지금부터 시험을 준비한다는게 무모해보이긴 했다. 그래도 이 시험을 준비하면 백수생활이 무료하진 않겠다 한번 더 생각해보게 됐고, 혹여 시간이 부족해서 시험준비를 다 못하게된다면 내년 시험을 위해서 시범삼아 모의고사 치루듯 그냥 한번 봐볼 용기를 내보기로 했다. 시험 응시수수료 50,000원.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홈페이지 큐넷: www.q-net.or.kr/man001.do?gSite=L&gId=36

필기시험 날짜는 2020년 9월 12일. 7월 17일 접수를 마치자 시험까지 딱 2개월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얻었다. 일단 동네 서점에 가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30일 안에 다잡기] 책을 구입했다. 이것저것 고를 것도 없이 서점에 이 책밖에 없었다(가격 25,000원). 웬지 새 책을 사니 어릴 때 기분이 나서 살짝 설레임도 느꼈더랬다.

 

 

 


시간이 없으니까 일단 이해가 되든 안되든 한번 쭈욱 훑어보는걸 목표로 매일 일정량씩 정독했다. 아무래도 나이가 있다보니 기억력에 자신이 없어서 최소한 두번은 완독하고 시험을 보는 것으로 계획을 잡았다. 근데 간만에 책을 보려니까 노안으로 글자도 흐릿하고 집중도 잘 안되서 크게 애를 먹었다.


나이가 들면 공부방식도 바꿔야 한다. 한번 정독한 후 두번째 볼 때 정말 깜짝 놀랐다. 분명히 한번 다 읽었는데 완전히 처음 보는 것처럼 생소한 내용이 많은게 아닌가. 한바탕 낙담과 좌절! 그러나 나이듦이 유리한게 있다. 현명해지고 끈기가 생긴다는거^^


나는 곧 기억력 감퇴를 그냥 자연의 순리로 받아들이고 외우기보다는 이해 중심으로 학습방식을 확 전환했다. 이해가 되기만 하면 굳이 외워야되는 것도 그냥 넘겼다. 어차피 다음날 잊어버릴 거라는걸 알기에. 차라리 억지로 외우려들지말고 여러번 읽으면 어느 순간 재수좋게 떠오를 수도 있더라. 오히려 내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됐다.


그래서 내친김에 시험을 일주일 앞두고 시내에 갈 일이 있어서 큰 서점에 들려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최종모의고사]라는 책을 하나 더 샀다(가격 19,000원). 모의고사 3회분이 수록되어 있었는데 각 회차별로 시험시간에 맞춰 테스트해보기에 좋았다. 이게 진짜 시험이면 겨우 달랑달랑 합격할 수준의 점수가 나왔다.

 

 

 


참. 시험은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되는데 1교시엔 100분동안 한국어학(60문항)과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20문항)을, 2교시엔 한국문화(20문항)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93문항)을 평가한다. 합격하기 위해서는 각 영역별로 40퍼센트 이상 득점해야하고 전 영역 총점이 평균 60퍼센트 이상을 득점해야한다. 참고로 총점은 300점, 각 개별 객관식 문항은 1.5점씩 환산한다.


특히 마지막 영역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시험에는 주관식으로 교안작성 1 문항이 나오는데 이게 배점이 12점이나 되어서 좀 부담스럽다. 그래서 난 일찌감치 이 주관식 문항은 포기했다. 어디에서 어떤 내용으로 교안을 작성하라고 요구할지 너무 방대한 느낌이 들어서 집중과 선택의 묘미를 살려 과감히 재꼈다. 어차피 실전으로 들어가서 직접 교육을 하게 되면 내 방식의 교안작성법을 터득하면서 성장할 수 있으리라 자위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자신감은 오히려 공부를 막 시작했을 때 최고조였다가 시험이 다가올 수록 떨어지는 포물선을 그렸고, 하면 할 수록 할게 많아져서 너무 늦게 시작한걸 공부하는 내내 아쉬워했다. 여튼 쉰줄이 넘어서야 간만에 공부를 해서인지 스트레스는 받아도 '일신우일신' 하는 긍정적인 기운을 느끼면서 하루하루가 보람찼다. 덕분에 이 기간 동안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많은 지식을 얻었다고 생각한다. 역시 부담이 되도 시험을 봐야 실력이 훌쩍 는다.


드디어 시험보는 날이 다가왔다. 하루에 네다섯시간씩 최선을 다해 공부를 했어도 여전히 모의고사 점수는 합격선에 겨우 턱걸이를 하고 있었다. 해서 처음 생각했던 대로 내년 시험을 대비해서 어떻게 시험을 보는건지 선 체험을 해보자는 마음으로 집을 나섰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끄적거리고 올려야겠다. 마지막으로, 혹시 3급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이 글을 읽고 있으시다면 조언컨대, 쉬운 내용의 시험이 아니므로 준비 시기는 빠르면 빠를 수록 좋지만 그렇다고 좀 늦었다고 포기할 만큼 아주 어려운 시험은 아니므로 시험 한달 이상의 시간이 남았다면 '바로 지금' 시작하실 것을 권한다. 그리고 시험을 다 치룬 지금 생각해보면 기본적으로 외워야될 게 있긴한데 시험문항들이 대개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들이기 때문에 각론보다 전체적인 내용과 맥락을 파악하는게 바람직하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교재를 한권 정해놓고 몇번씩 소설 읽듯 여러번 보는 것을 추천한다.


또 조만간 이 다음부터의 시험후기를 정리해 올리겠다. 부디 내 후기가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은 이만!

 

이전 글 참고

2021/02/14 -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후기 1] 3급 자격증에 도전하게 된 이유


다음 글 참고

2021/02/28 -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후기 3]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필기합격

2021/03/03 -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후기 4]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최종합격

2021/03/04 -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후기 5] 한국어교원자격증 3급 취득

 

728x90